본문 바로가기

SQL11

[ORACLE] 기본 문법 5_ 데이터 정의어 데이터 정의어 (DDL:Data Definition Language) (1) 데이터를 보관하고 관리하기 위해 제공되는 여러 객체(object)의 생성`변경`삭제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어 (2) 데이터 조작어(DML)과 달리 데이터 정의어(DDL)은 실행하면 자동으로 COMMIT된다. 자료형(data type) (1) VARCHAR2(길이) 4000byte만큼의 가변 길이 문자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. (2) NUMBER(전제 자릿수, 소수점 이하 자릿수) . ±38 자릿수의 숫자를 저장할 수 있다. . NUMBER(p, s)와 같이 표기할 경우 s자리만큼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표현하고, 이 소수점 자리를 포함한 전체 p자리만큼 숫자 데이터를 저장한다. (3) DATE 날짜 형식을 저장하기 위해 사.. 2022. 1. 3.
[ORACLE] 기본 문법 4 _데이터 조작어 # 데이터 조작어 (DML:Data Manipulation Language) 테이블에 데이터를 추가`변경`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> DEPT 테이블을 복사해서 DEPT_TEMP 테이블 만들기 CREATE TABLE DEPT_TEMP AS SELECT * FROM DEPT; > EMP 테이블을 복사해서 EMP_TEMP 테이블 만들기 * WHERE 11 : EMP 테이블과 같은 열 구조를 가지지만 데이터는 복사하고 싶지 않을 때 사용 CREATE TABLE EMP_TEMP AS SELECT * FROM EMP WHERE 1 1; INSERT문 (1) 정의 테이블에 데이터 추가 (2) 기본 형식 INSERT INTO 테이블 이름 [(열1, 열2, ..., 열N)] VALUES (열1에 들어갈 데이터,.. 2022. 1. 3.
[ORACLE] 기본 문법 3 그룹 함수(= 복수행 함수, 다중행 함수) (1) 정의 : 여러 행을 바탕으로 하나의 결과 값을 도출해내기 위해 사용하는 함수 (2) 자주 사용하는 그룹 함수 1) SUM : 합 2) COUNT : 개수 3) MAX : 최대값 4) MIN : 최소값 5) AVG : 평균값 사용 예시 모든 사원들의 급여 합계 출력하기 SELECT SUM(SAL) FROM EMP; * 그룹 함수를 사용한 SELECT절에는 기본적으로 여러 행이 결과로 나올 수 있는 열을 함께 사용할 수 없다. 즉 다음과 같은 SELECT문은 실행되지 못하고 오류가 발생한다. SELECT ENAME, SUM(SAL) FROM EMP; 전체 부서번호의 개수 출력하기(단, 중복 제거) SELECT COUNT(DISTINCT DEPTNO) FROM.. 2022. 1. 3.
[ORACLE] 기본 문법 2 ROUND 함수 1) 특정 위치에서 반올림하기 2) ROUND([숫자], [반올림 위치(선택)]) 3) 반올림 위치를 지정하지 않으면 소수점 첫 번째 자리에서 반올림이 수행된다. 사용 예시 SELECT ROUND(1234.5678) AS ROUND, -- 소수점 첫째자리 반올림 //1234 ROUND(1234.5678, 0) AS ROUND_0, -- 소수점 첫째자리 반올림 //1234 ROUND(1234.5678, 1) AS ROUND_0, -- 소수점 둘째자리 반올림 //1234.6 ROUND(1234.5678, 2) AS ROUND_0, -- 소수점 셋째자리 반올림 //1234.57 ROUND(1234.5678, -1) AS ROUND_MINUS1, -- 자연수 첫째자리 반올림 //1230 ROUN.. 2022. 1. 3.